사회토픽
'29억' 기차표 사고 '취소'하는데도 모르는 철도공사

감사원이 20일 발표한 감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단 5명의 이용자가 무려 29억3000만원 상당의 승차권을 구매한 뒤 이 중 29억800만원어치를 취소했음에도 철도공사는 이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들의 승차권 취소율이 99.2%에 달했다는 점이다. 이는 실제 탑승 목적이 아닌 다른 의도로 승차권을 대량 구매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철도공사의 부실한 모니터링 시스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연간 취소금액 1000만원 이상, 취소율 95% 이상인 이용자가 139명이나 됐지만, 철도공사가 실제 적발한 건 고작 16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123명, 즉 88.5%의 다량 취소자들이 아무런 제재 없이 승차권 구매와 취소를 반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허점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은 철도공사가 '코레일톡' 애플리케이션만을 모니터링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코레일 홈페이지를 통한 구매, 우수회원의 구매, 운행 당일 또는 1일 전 취소 등은 모두 감시망에서 제외됐다. 이는 실제 악용 사례를 파악하는 데 심각한 사각지대를 만들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철도공사 내부 직원들의 기강 해이다. 2021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직원이 186명에 달했는데, 이 중 37명이 아무런 징계 없이 승진했고, 44명은 오히려 표창을 받았다. 특히 열차 안전과 직결되는 기관사와 설비원이 음주운전 적발 당일에도 열차 운행과 승강장 안전문 점검 업무를 수행한 사실이 밝혀져 승객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더해 병가나 노조 활동을 빌미로 한 직원들의 일탈도 적발됐다. 260명의 직원들이 병가나 노조 활동 시간을 이용해 해외여행을 즐기거나 경마장을 출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총 782일 동안 본래 목적과 다르게 시간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원은 철도공사에 승차권 구매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음주운전 직원에 대한 엄정한 징계, 부적절한 병가 사용에 대한 연차수당 회수 등을 주문했다. 또한 철도 안전과 직결되는 음주 측정과 관리·감독을 더욱 철저히 하도록 강력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