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라이프

'먹는 즐거움'이 없어 더 많이 먹는다... 비만 치료의 혁명적 발견

 흔히 비만인 사람들은 식사에서 더 많은 즐거움을 느껴 과식한다고 생각하지만, 최신 연구 결과는 이와 정반대의 충격적인 사실을 밝혀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신경과학부 스테판 라멜 교수 연구팀은 지속적인 고지방 식단으로 비만에 이르면 오히려 먹는 즐거움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비만인 사람들의 뇌를 스캔한 결과, 음식 섭취 시 발생하는 쾌락 관련 뇌 영역 활동이 정상 체중인 사람들보다 현저히 감소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러한 현상의 핵심에는 '뉴로텐신'이라는 호르몬이 있었다. 도파민 네트워크와 연결된 뇌 영역에서 분비되는 이 호르몬이 감소하면 식사에 대한 즐거움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동물실험을 통해 이 메커니즘을 자세히 분석한 연구팀은 고지방 사료를 먹은 쥐들이 과도하게 체중이 불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흥미롭게도 이렇게 비만해진 쥐들은 버터, 땅콩버터, 초콜릿, 젤리 등 고칼로리 간식에 대한 욕구가 정상 체중 쥐들보다 현저히 낮았다. 연구팀은 이 현상이 비만 쥐의 뇌에서 뉴로텐신 분비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비만 쥐의 뇌는 뉴로텐신이 크게 감소한 상태이기 때문에 쾌락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상적인 식단을 유지하는 쥐가 식사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며 먹는다면, 비만 쥐는 즐거움 때문이라기보다 식습관이나 지루함 때문에 먹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 놀라운 것은 비만 쥐에게 2주간 정상 식단을 유지하도록 했을 때 나타난 변화였다. 정상 식단으로 전환한 비만 쥐들은 뉴로텐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고, 도파민 기능이 회복되면서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욕구도 증가했다. 얼핏 보면 이런 변화가 체중 증가로 이어질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전체적인 음식 섭취량이 줄어들었고 체중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인위적으로 비만 쥐의 뉴로텐신 수치를 회복시키는 실험도 진행했다. 그 결과 역시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도 전반적인 식습관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뉴로텐신을 직접 투여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통해 뉴로텐신 수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간의 비만 치료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비만인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음식을 찾거나, 배가 부른데도 습관적으로 간식을 먹는 행동은 식사에서 충분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 식사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도록 만들면 배가 부를 때 식사를 멈추는 등 건강한 식습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쥐를 통해 확인한 실험 결과가 곧바로 인간에게 적용되는 건 아니지만, 이번 발견은 비만에 이르도록 만드는 고지방 중심의 식습관을 깨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또한 "비만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정밀 치료법을 찾는 데도 이번 연구가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비만의 악순환을 깨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단순히 식욕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식사의 즐거움을 회복시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